
눈 근디스트로피 (Ocular muscular dystrophy)
눈 근디스트로피는 주로 안구 운동을 담당하는 외안근에 영향을 미치는 드문 형태의 근이영양증입니다. 이 질환은 점차 악화되는 외안근 마비(progressive external ophthalmoplegia)를 유발하며, 눈꺼풀 처짐(안검하수)과 안구 운동 제한이 특징입니다. 단독으로 발생하거나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일부 증후군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 및 징후
- 양측 안검하수가 발생합니다.
- 진행성 외안근 마비: 모든 방향에서의 안구 운동 제한 또는 소실이 점진적으로 발생합니다.
- 일부 환자에서는 경도의 얼굴 근육 약화, 운동 시 피로감 또는 근피로, 연하곤란 또는 사지 근력 저하, 부정맥, 난청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원인
눈 근디스트로피는 핵 DNA 또는 미토콘드리아 DNA 돌연변이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토콘드리아 DNA 결실 또는 변이 및 POLG, TWNK, TYMP 등의 핵 유전자 변이 모두 눈 근디스트로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유전 방식은 산발성, 상염색체 우성/열성, 모계유전형 등 다양합니다.
진단
- 임상 진찰: 안검하수 및 안구 운동 제한 등의 증상을 확인합니다.
- 혈액 검사: 혈청 CK 수치는 정상 또는 경도 상승을 보입니다.
- 근전도(EMG): 근병증성 소견을 보입니다.
- 근육 생검: 불균일한 적색 근섬유(ragged-red fibers)가 확인될 수 있습니다.
- 유전자 검사: 미토콘드리아 및 핵 유전자의 변이 분석을 시행합니다.
- 증후군형에서는 심장 검사 및 청력 검사를 진행합니다.
치료
근본적인 치료는 없으며, 지지적이고 증상 완화 중심의 치료를 시행합니다.
- 안검하수 교정 수술로 기능 개선을, 프리즘 안경 등으로 복시 완화를 도모합니다.
- 증후군형에서는 심장 기능의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미토콘드리아 보조요법(코엔자임 Q10, 비타민 B군, 카르니틴 등)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 환자 및 가족을 위한 유전 상담을 진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