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동신경세포병 (Motor neuron disease)
운동신경세포병은 수의근 운동을 조절하는 운동신경세포가 선택적으로 퇴행하면서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신경퇴행성 질환군입니다. 대뇌 피질에서 기원하는 상위 운동신경세포와 뇌간 또는 척수에서 기원하는 하위 운동신경세포 모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근력 약화, 경직, 근위축, 근연축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가장 대표적인 형태는 근위축 측삭경화증이며, 이 외에도 진행성 근위축증, 원발성 측삭경화증, 진행성 구근마비 등이 포함됩니다.
증상 및 징후
침범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습니다.
- 점진적인 사지 근력 약화가 대개 비대칭적으로 나타납니다.
- 하위 운동신경 징후인 근위축 및 근육 연축이 나타납니다.
- 상위 운동신경 징후인 경직, 과반사 등이 나타납니다.
- 구음장애 및 연하곤란이 발생합니다.
- 병의 진행에 따른 호흡 부전이 나타납니다.
원인
대부분의 운동신경세포병은 산발성으로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부는 유전적 변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바이러스 감염, 자가면역 반응, 미토콘드리아 이상 등도 제안되었으나 명확히 입증되지는 않은 상태입니다.
- 산발성 운동신경세포병: 대다수를 차지하며, 환경적 요인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 가족성 운동신경세포병: 약 5~10%를 차지하며 주로 SOD1, C9ORF72, TARDBP, FUS 등의 유전자 변이와 연관됩니다.
진단
임상적 평가를 중심으로 전기생리검사 및 영상검사를 병행하여 진단합니다.
- 신경학적 진찰: 상위 및 하위 운동신경 징후를 확인합니다.
- 근전도(EMG): 신경 탈락(denervation) 및 만성 신경 재지배(reinnervation) 소견을 확인합니다.
- 자기공명영상(MRI): 구조적 또는 염증성 원인을 배제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 유전자 검사: 가족력이 있는 경우 시행합니다.
치료
치료는 증상 완화 및 진행 억제를 목표로 하며, 다음과 같은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 리루졸 및 에다라본: 근위축 측삭경화증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다학제 진료: 호흡, 영양, 이동, 의사소통 등에 대한 전반적 지지를 제공합니다.
- 필요시 비침습적 인공호흡기를 통한 호흡 보조를 지원합니다.
- 영양 지원이 필요할 경우 위루술 등을 통한 영양보조를 지원합니다.
- 물리치료, 보조기기, 언어치료 등의 지원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