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도당 수송자 1 결핍증 (Glucose transporter type1 (GLUT1) deficiency)
GLUT1 결핍증 또는 포도당 수송자 1 결핍증은 SLC2A1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혈액-뇌 장벽을 통한 포도당 수송이 장애를 일으키는 드문 유전성 대사 질환입니다. 뇌는 포도당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포도당 공급이 부족해지면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며, 특히 발작, 발달 지연, 운동장애가 두드러집니다. 대부분 영아기 또는 유년기에 발현하지만, 경증의 경우 청소년기 또는 성인기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증상 및 징후
임상 양상은 다양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 뇌전증: 대부분 영아기에 발작이 시작되며, 일반적인 항발작약물에 잘 반응하지 않습니다.
- 발달 지연: 운동 및 인지 발달이 늦어지고, 전반적인 발달 지연이 관찰됩니다.
- 운동장애: 운동 실조, 근긴장 이상, 경직, 무도병성 운동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간헐적 증상: 단식 또는 운동 후 악화되는 에피소드성 근력 약화, 혼란, 기면, 운동 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소두증: 일부 환자에서는 두위가 작아집니다.
- 행동 및 정신 증상: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자폐 스펙트럼 특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원인
GLUT1 결핍증은 포도당을 혈액-뇌 장벽을 통해 수송하는 GLUT1 단백질을 코딩하는 SLC2A1 유전자의 병적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지만, 새로운 돌연변이인 경우도 흔합니다. 이로 인해 포도당이 혈액에서 뇌 장벽을 통해 뇌세포 내로 이동되지 못하여 뇌에 필요한 포도당 공급이 만성적으로 부족하여 신경세포 에너지 결핍이 발생하는 것이 병태생리의 핵심입니다.
진단
다음 검사를 종합하여 진단에 활용하나, 최근에는 유전자 검사가 가장 핵심적인 검사 방법입니다.
- 뇌척수액 검사: 혈당에 비해 뇌척수액 내 포도당 농도가 낮은 것이 특징적입니다.
- 유전자 검사: SLC2A1 유전자 돌연변이 확인으로 확진합니다.
- 임상 평가: 영아기 발작, 운동장애 등 특징적인 임상 양상 관찰이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 치료
- 케톤생성식이요법이 치료의 핵심이며, 그 외 부가적인 증상치료를 진행합니다.
- 케톤생성식이요법: 고지방-저탄수화물 식이요법으로 케톤체를 뇌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공급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며, 발작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신경학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증상 관리: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등의 재활치료가 필요합니다.
- 단식 회피: 공복 시 증상이 악화되므로 피해야 합니다.
- 약물 치료: 항발작약물 사용할 수 있으나, 식이요법 없이 발작 조절은 어렵습니다.
치료
케톤생성식이요법이 치료의 핵심이며, 그 외 부가적인 증상치료를 진행합니다.
- 케톤생성식이요법: 고지방-저탄수화물 식이요법으로 케톤체를 뇌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공급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며, 발작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신경학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증상 관리: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등의 재활치료가 필요합니다.
- 단식 회피: 공복 시 증상이 악화되므로 피해야 합니다.
- 약물 치료: 항발작약물 사용할 수 있으나, 식이요법 없이 발작 조절은 어렵습니다.